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Battle Brothers/등장 세력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고블린 === [[파일:GoblinsConcept.jpg]] 고블린은 맷집과 대미지가 약하지만 높은 주도력과 다양한 상태이상을 바탕으로 하는 유격전을 펼친다. 대부분 공격 한두번에 무력화되지만 근거리 방어력, 원거리 방어력 모두 높아서 명중시키기가 어렵다. 고블린의 전술은 척후병과 주술사가 그물과 나무덩쿨로 용병들을 속박시킨 사이 매복조와 감독관이 속박된 용병에게 화살과 볼트를 퍼붓는 것이다. 고블린 독을 바른 화살은 피격 시 AP가 3 감소해서 몇 턴 간 해당 용병은 무력화되며 그물과 화살비를 뚫고 간신히 접근하면 모든 고블린이 풋워크 퍽을 가졌기에 잽싸게 한 칸 물러나 도망간다. 이런 짜증나는 교활한 전술 때문에 후반으로 갈수록 고블린과의 싸움은 기피하게 된다. 게다가 비싼 무기와 수리도구를 퍼주는 오크와 다르게 고블린과 싸워서 얻는 전리품조차 검 정도를 빼면 헐값이라 더더욱 고블린을 기피하게 된다. 그래서 불리는 이름은 통칭 혐블린. 약점은 일단 맞기 시작하면 순식간에 썰린다는 것과 리졸브가 낮아 백기를 띄우기 쉽다는 것. 에이스 용병에게 속박 면역 트로피를 줘서 고블린 전열에 돌격시키고 궁수들은 명중시키기 쉬운 적부터 하나씩 일점사해서 죽이자. 동료가 한둘씩 죽어나가면 일단 고블린들의 사기가 깎이며 능력치가 감소해서 전투가 수월해지며 좀만 더 죽여도 나머지가 모랄빵나 도망치며 쉽게 전열이 붕괴된다. 또, 아드레날린 퍽+고독한 늑대 퍽을 찍은 듀얼리스트는 고블린 상대로 저승사자 급의 능력을 자랑한다[* 특히 펜싱 듀얼리스트는 고블린 특화 직업이라 할만하다. 펜싱 듀얼리스트가 아니라도 듀얼리스트 자체가 고블린 상대로 좋은 활약을 펼친다.]. 듀얼리스트가 아니라도 아드레날린 퍽을 찍은 전열 그룹을 키웠다면 혐블린 소리 없이 쉽게 고블린을 잡아낼 수 있다는 것도 알아두자. 다른 세력은 주로 보스급, 혹은 고티어 유닛에서 챔피언이 나오는데 고블린만은 기본 병과인 매복조와 척후병, 울프라이더에서만 챔피언이 나오고 오히려 감독관같은 고티어 병과는 챔피언이 없다. 고블린 유니크 아이템도 창이나 장창, 활에 국한되는데 기본 무기들의 낮은 깡뎀으로 인해 대부분 플레이어가 사용하기 애매한 옵션이 나오는지라 얻고도 애물단지가 될 때가 많다. 초중반에 얻을 수 있다면 웃으면서 사용할만한 성능이지만 애초에 고블린 유니크 템을 먹으려면 용병단의 무장과 레벨, 용병들의 성능이 충분히 받쳐줘야 하므로 당연히 계륵이 될 수 밖에 없다. 심지어 가격조차 그리 비싸지 않다. 오크제 유니크 무기는 인기가 많다는 것과 비교하면 고블린을 더 인기없게 만드는 요인이다. 각종 이벤트 스크립트들을 읽어보면 의외로 설정이 치밀하게 짜여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블린 사회는 철저한 계급제 사회로 하층 계급(매복조, 척후병)은 개인의 권리가 거의 없고 지배 계급(주술사, 감독관)에게 일종의 소모품처럼 여겨진다. 지배층에 왕은 없으며 일종의 귀족 과두정같은 체제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오크와는 피부색만 비슷할 뿐 언어도 통하지 않으며 보통은 적대 관계이지만 오크의 약탈을 피하기 위해 오크에게 공물을 바치기도 한다. 그리고 고블린은 오크를 원시적이고 멍청한 종족이라고 깔보는 듯. 전리품 중에서 이들이 자체적으로 주조해 사용하는 은화가 있을 정도로 인간 국가들 못지않게 나름 발전된 문명을 이루었으니 그럴 만 하다. [[파일:goblin-ambusher_orig.jpg]] 능력치-체력40 원공75 근회+10 원회+20 소유 퍽-Anticipation, Quick Hands, Footwork, Pathfinder, Bow Mastery, Cripling strikes 착용 갑옷-helm (25), skirmisher armor (35) Goblin ambusher★ : 고블린의 기본 궁수. 화살의 대미지는 인간 활에 비해 크게 낮지만 화살에 고블린 독을 발라서 사용하는 것이 성가시다. 고블린 독에 중독되면 AP가 3 감소하며 3턴간 서서히 회복되어 해당 용병은 한동안 제 몫을 하지 못한다. 체력이 약하지만 그렇다고 근접공격을 먹이려고 접근한다고 쉽게 잡히는 것도 아니며 퀵핸드 퍽으로 단검을 꺼내서 찌르기를 연타로 날리는데, 갑옷을 무시하는데다가 단검에도 독이 발라져서 잘못하면 중갑 투핸더가 접근했다가 단검에 연타로 맞고 죽어버리는 참사도 생긴다. [[파일:goblin-skirmisher_orig.jpg]] 능력치-체력40 근공75 근회+25 원회+15 소유 퍽-Anticipation 착용 갑옷-light helm (40), helmet (90), light armor (40), medium armor (55), heavy armor (90) Goblin skirmisher★ : 고블린의 기본 보병. 한손창, 한손검, 폴암 등으로 무장했고 방패 혹은 그물을 장비했으며 투척무기도 소지하는 등 장비를 다양하게 들고 다니는데 킉핸드 퍽으로 자유자재로 스왑하며 공격한다. 플레이어가 접근하지 않으면 투척무기를 던져대고, 접근하려 하면 몇 놈이 창벽을 올리고 그물을 던진 후 폴암으로 집중공격한다. 그물을 가진 개체의 수가 많으면 짜증이 배가된다. 그나마 그물은 한 번 쓰면 사라지므로 처음 몇 턴 동안 그물을 벗겨내면 상대할 만 하다. [[파일:goblin-wolf-rider.jpg]] 능력치-체력55 근공75 근회+15 원회+10 소유 퍽-Anticipation, Duelist, Footwork 착용 갑옷-light helm (40), helmet (90), light armor (40), medium armor (55), heavy armor (90) Goblin wolf rider★ : 늑대에 탑승한 기랑병. 매우 높은 주도력과 압도적인 이동거리를 가졌다. 보통 기랑병들은 자기들끼리만 몰려다니는데, 몇 놈은 전열에 붙고 나머지는 원을 크게 그리며 뒤로 돌아서 피로도가 높거나 AP를 모두 쓴 용병, 궁수 등 취약한 용병에게 일시에 덤벼드는 뛰어난 AI룰 가졌다. 한 턴에 고블린이 2번, 늑대가 1번 공격하는데다가 듀얼리스트 퍽으로 방어구를 관통하고 때리므로 집중공격당하면 많이 아프다. 죽일 때 헤드샷으로 죽이면 늑대가 남고 몸샷으로 죽이면 고블린이 남아서 계속 공격하는 것도 성가시다. 그래도 다른 고블린처럼 짜증나게 니가와 전술을 쓰지 않고 먼저 다가와주기에 플레이어 용병들이 한 턴에 고블린 서넛은 베어넘길만큼 성장했다면 그나마 상대하기 수월하다. [[파일:goblin-overseer.jpg]] 능력치-체력70 근공75 원공85 근회+15 원회+20 소유 퍽-Anticipation 착용 갑옷-helmet (100), body armor (180) Goblin overseer : 강력한 석궁으로 원거리 딜링을 하거나 주변 고블린들의 능력을 버프시키는 보스 개체. 일반 중석궁과 스펙이 비슷하나 명중률이 조금 낮은 대신 피격 시 넉백 효과가 있는 스파이크드 임페일러로 무장해서 다가오는 플레이어 용병들을 저격하며 쏠 대상이 마땅치 않으면 부하 고블린들에게 채찍질을 해서 능력치 버프를 준다. ~~샤먼에게도 채찍질을 하는 걸 보면 샤먼보다 계급이 높은 것 같다~~ 그나마 채찍질을 하면 직접 피해는 없으나 석궁에 피격당하면 넉백과 함께 높은 확률로 부상을 입어서 위험해진다. [[파일:goblin-shaman.jpg]] 능력치-체력70 근회+10 원회+20 소유 퍽-Anticipation 착용 갑옷-ritual headpiece (35), ritual armor (45) Goblin shaman : 플레이어 용병들에게 짜증나는 광역 디버프를 거는 마법형 서포터. 그물과 같은 효과의 속박하는 나무덩쿨을 땅에서 솟아나게 하는 기술이 있는데 광역 스킬이라 시작할 때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용병들에게 직격해서 5명 정도 묶이고 시작하면 속박 푸느라 다같이 첫 턴을 날리고, 다시 다음 턴에 그대로 속박에 걸리는 악순환이 지속되니 용병들을 산개해야 한다. 여럿을 속박할 각이 나오지 않으면 가장 가까이 접근한 용병 하나에게 벌레 떼를 달려들게 해서 3턴 간 디버프를 걸어 해당 용병이 정상적으로 싸울 수 없게 만든다. 디버프들이 매우 짜증나지만 본체의 전투력은 매우 허접해서 아무 용병이나 접근만 시키면 잡기는 쉽다. 야간전을 할 경우 주변 고블린들의 야간 시야 페널티를 없애주는 스킬을 쓰는데 이 스킬을 쓰느라 다른 더 짜증나는 스킬들을 상대적으로 덜 쓰기에 밤에 싸우면 더 상대하기 쉽다. 다른 서포터들과 달리 적과 근접해도 마법을 쓸 수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